지금 인터넷은 TCP/IP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.
TCP 헤더구조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는 책을 보거나 여기저기 보면 많이 나옵니다.
다음에 기회가 되면 제가 워드로 잘 정리해둔 자료를 가지고 다시 한번 올려볼 생각입니다.
우리가 접속하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패킷구조중의 하나를 나타내는 TCP 헤더구조가 위의 그림과 같다.
물론 초보자들은 좀 어렵게 느낄 수도 있지만 전문가가 되려면 반드시 헤더구조를 분석하는 버릇을 길러야 된다.
물론 이렇게 말하는 나자신도 아직은 전문가는 아니다. 그러나 기술을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알아할 것이 위 헤더구조중에서
특히 포트번호와 Code Bits 부분은 꼭 알아둘 필요가 있다.
포트번호는 왜 필요할까?
우리는 하나의 컴퓨터에서 수없이 많은 Application을 실행한다. 웹 브라우저를 띄워놓고 똑같은 사이트 또는 각기다른 사이트를 접속하는데 하나같이 제대로 웹 브라우저에 보여준다. 왜 그럴까???
그것은 바로 포트번호로 구분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.
목적지가 서버일 경우 찾아게 될 때도 어떤 서버는 웹서버이고 어떤 서버는 FTP서버이고 또다른 게임서버인지를 어떻게 알아서 찾아간다고 보는가??
목적지 포트번호가 미리 예약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가능하다.
|
'정보통신 > 기초 강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RP(Address Resolution Protocol) 헤더구조 및 동작원리 (5) | 2013.06.26 |
---|---|
IP헤더구조는 어떻게 생겼고 하는 기능들은 뭘까??? (0) | 2013.03.31 |
라우터(IP공유기) NAT 동작은 어떻게?? (6) | 2013.03.31 |
TCP Flags and Response (0) | 2013.03.30 |
CSMA/CD 프레임의 최대크기를 정한 이유 (0) | 2013.03.30 |